메인 메뉴 바로가기
구글코리아 블로그

구글의 새로운 생성형 AI 툴 ‘위스크(Whisk)’로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더욱 쉽게 시각화하고 리믹스해 보세요!

히어로 이미지

지난 12월 16일, 구글 랩스가 미국에서 먼저 공개한 생성형 AI 기반의 최신 실험 ‘위스크(Whisk)를 이제 한국에서도 만나볼 수 있습니다.

위스크는 길고 상세한 텍스트 프롬프트 입력 없이, 이미지를 활용해 결과물을 생성할 수 있는 새로운 AI 도구입니다. 이미지를 드래그해 입력창에 드롭하면, 원하는 크리에이티브한 결과물을 손쉽게 만들어냅니다.

위스크는 이용자가 만들고자 하는 피사체, 장면, 스타일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업로드하기만 하면, 입력된 이미지의 주요 요소들을 조합해 새로운 나만의 독창적인 결과물을 만들어냅니다. 예를 들어, 디지털 인형부터 에나멜 핀, 스티커까지 원하는 대로 새로운 결과물을 창작할 수 있습니다.

위스크를 통해 생성된 ‘환상의 물고기’ 이미지 예시

위스크를 통해 생성된 ‘환상의 바다코끼리’ 이미지 예시

위스크를 통해 생성된 ‘스프링클이 뿌려진 글레이즈 도넛’ 에나멜 핀(enamel pin) 예시

위스크를 통해 생성된 ‘뿔 달린 환상의 고양이’ 이미지 예시

위스크의 작용 원리에는 ‘제미나이’와 ‘이마젠 3’ 가 활용됩니다. 위스크에 이용자가 원하는 이미지를 입력하면 제미나이(Gemini)’는 자동으로 이미지에 대한 상세 캡션을 작성합니다. 이렇게 생성된 캡션은 구글의 최신 이미지 생성 모델인 ‘이마젠 3(Imagen 3)에 입력되는데, 이 과정에서 원본을 그대로 복제하는 것이 아닌 입력된 이미지의 본질을 담아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이용자는 주제, 장면, 스타일을 창의적이면서도 새로운 방식으로 손쉽게 재생성할 수 있습니다.

위스크는 입력된 이미지에서 몇 가지 주요 특징만 추출하도록 설계됐기 때문에, 결과물이 예상과 다르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생성된 이미지 속 피사체의 키, 체중, 헤어스타일, 피부톤 등이 원본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구글은 이런 요소들이 프로젝트에 따라 중요한 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점을 잘 알고 있기에, 이용자가 생성된 프롬프트를 직접 확인하고 편집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아티스트와 크리에이터를 대상으로 한 초기 테스트에서 위스크는 전통적인 이미지 편집 도구가 아닌, 완전히 새로운 형태의 창작 툴로 느껴진다는 반응을 다수 확인했습니다. 위스크는 픽셀 하나하나까지 완벽하게 편집할 수 있는 툴이 아닌, 빠른 시각적 탐색을 통해 창작물을 생성하는 AI 툴인 만큼, 이용자는 새로운 방식으로 아이디어를 탐색하고 다양한 옵션을 실험하며 마음에 드는 결과물을 만들어내고 다운로드할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labs.google/whisk에서 위스크를 체험해 보시기 바랍니다.

구글 랩스는 제미나이(Gemini), 이마젠(Imagen), 비오(Veo)와 같은 최신 생성형 AI 모델을 활용한 실험을 진행하는 공간입니다. 구글은 구글 랩스를 통해 새 제품과 기능에 대한 이용자의 피드백을 받아 함께 더 나은 기술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위스크를 비롯해 다른 실험들에 대한 최신 소식을 놓치고 싶지 않다면, 구글 랩스 뉴스레터를 구독하거나 X(트위터), 레딧(Reddit), 디스코드(Discord)에서 구글 랩스를 팔로우하고 확인해보세요!